티스토리 뷰
목차
“15만원 준다더니 인구가 폭발했다?” 남해군, 농어촌 기본소득 효과 현실로
정부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대상지로 선정된 경남 남해군에서 한 달 만에 전입 인구가 350명 이상 증가했습니다. 18년 만의 최대 순유입으로, 1인당 월 15만원의 기본소득 지급 소식이 지역 인구 흐름에 즉각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위장 전입 등 부작용 우려와 함께 ‘정착률’이 향후 성패를 가를 전망입니다.
🌾 1. 남해군, 기본소득 발표 후 ‘인구 폭발’
정부의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지역으로 선정된 경남 남해군이 최근 놀라운 변화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간 줄곧 감소하던 인구가, 10월 한 달 만에 350명 넘게 급증한 것입니다.
- 📈 전입 인구: 10월 629명 (전월 대비 131% 증가)
- 📉 전출 인구: 지속 감소
- ✅ 2007년 이후 18년 만의 최대 폭 증가세
남해군은 올해 1~8월 내내 인구가 감소세였지만,
기본소득 발표 이후 9월·10월 두 달 연속 증가세로 완전 반전했습니다.

🏡 2. 누가 남해로 이사왔나?
전입자의 절반 이상은 수도권이 아닌 부산·경남 인근 지역에서 이사 온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부산 | 130명 |
| 진주 | 68명 |
| 사천 | 56명 |
| 창원 | 40명 |
| 기타 지역 | 약 335명 |
➡ 인접 도시에서 ‘실거주 목적’으로 이동한 사례가 많고,
월 15만원 기본소득(지역사랑상품권) 지급 소식이 결정적 요인으로 꼽힙니다.
💰 3. 농어촌 기본소득, 어떤 정책인가?
남해군은 2026년부터 2년간 시범사업으로
지역 거주민에게 월 15만원의 지역사랑상품권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 정책 요약
| 지급 대상 | 남해군 거주 주민 |
| 금액 | 월 15만원 |
| 지급 방식 | 지역사랑상품권 |
| 시행 기간 | 2년간 시범사업 (정부 지원) |
| 목적 | 농어촌 인구 유지·소득 보전·지역경제 활성화 |
즉, ‘기본소득형 지역지원금’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촌 공동체 유지를 노리는 정책입니다.
⚠️ 4. 기대 vs. 우려 — ‘위장 전입’이 변수
긍정적인 지표에도 불구하고,
일부에서는 ‘위장 전입’ 또는 ‘일시적 풍선효과’ 가능성을 지적합니다.
기본소득이 실제 생활 기반을 마련하기보다는
단기 지원금만 노린 인구 이동으로 끝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따라 남해군은
부정수급 방지 + 정주 여건 개선을 동시에 추진 중입니다.
- 🏠 주거 환경 개선
- 🏥 의료·교육 인프라 확충
- 🧑🌾 지역 일자리 및 청년 창업 지원
“정착률이 향후 인구정책의 성패를 좌우할 핵심 변수”
— 남해군 관계자

🌱 5. 정착률이 성패를 가른다
남해군의 이번 인구 유입은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지역소멸 위기 속에서도 정책 하나로 인구 흐름을 바꾼 첫 사례이기 때문입니다.
다만, 인구 유지의 핵심은 지속 가능한 정착에 있습니다.
기본소득이 ‘정주(定住)’로 이어지는 구조적 변화를 만들 수 있을지가 향후 관건입니다.
🔍 요약 정리
| 지역 | 경남 남해군 |
| 증가폭 | 전월 대비 131% (357명 증가) |
| 주요 요인 | 농어촌 기본소득 시범사업 |
| 지급금액 | 월 15만원 (지역사랑상품권) |
| 우려점 | 위장 전입, 일시적 유입 |
| 대응책 | 정주 여건 강화, 부정수급 방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