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서울지하철 노선도, 40년 만에 대변신 신형 노선도 전격 공개
서울지하철을 이용하는 시민과 관광객 모두에게 희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서울시는 16일, 40년 만에 지하철 단일노선도의 전면 리디자인을 발표하며, 더 직관적이고 읽기 쉬운 노선도를 올 하반기부터 선보일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지하철 신형 노선도 왜 바꿨을까? 불편함 해소 + 글로벌 기준 적용
1974년 1호선 개통 이후 현재 23개 노선으로 확장된 서울지하철.
그간 단일노선도는 노선 이동 방향이나 지자체 경계 등의 지리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웠고,
호선마다 표기 방식도 달라 초행길 시민과 외국인 관광객, 어르신들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서울지하철 신형 노선도 어떻게 달라졌나? 디자인 포인트 정리
항목개선 내용
🎨 시각 디자인 | 색각이상자도 구분 가능한 색상 사용 |
🚦 환승 표기 | 신호등 방식 적용, 가시성 향상 |
📍 지리 정보 | 한강, 분기점, 서울·타지자체 경계 표시 |
🔤 폰트 적용 | 서울시 최초 ‘서울알림체’ 도입 |
🔢 역번호 표기 | 외국인 대상 직관성 강화 |
📐 형태 다양화 | 가로형·세로형·정방형 총 3종으로 제작 |
세계 최초! 투명 OLED 노선도도 등장
서울의 여의도역에는 세계 최초로 투명 OLED 노선도가 설치됩니다.
- LG디스플레이의 55인치 투명 OLED 32대 설치
- 영상으로 운행방향·비상탈출 안내까지 지원
- 첨단 기술로 서울의 스마트 지하철 시스템을 한눈에 보여주는 랜드마크가 될 예정입니다.
서울지하철 디자인 개편이 갖는 의미
✅ 기대 효과🔎 상세 내용
🌍 글로벌 도시 경쟁력 강화 | 외국인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국제 표준 디자인 |
👀 정보 접근성 향상 | 시각 약자·어르신·청소년 모두 편리한 이용 |
✨ 관광자원 활성화 | 명소 픽토그램 + 관광 노선도 적용 |
💬 공공디자인 위상 제고 | ‘서울알림체’ 도입 및 정보디자인 우수 사례 |
서울시 관계자는 “이번 디자인 개편은 지하철 이용자 중심의 정보 제공은 물론, 서울의 대표 공공디자인 자산으로 발전할 것”이라며 “관광 활성화와 도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습니다.
반응형